성경의 저자는 누구이며, 성경은 어떻게 쓰여졌는가 성경의 저자는 누구이며, 성경은 어떻게 쓰여졌는가 2017년 12월 4일 맑음 저녁에 인터넷으로 성경을 검색하고 있을 때, 놀라운 소식을 알게 됐다. 바로 성경의 저자가 하나님이 아닌 사람이라는 것이었다! 주님을 오랫동안 믿으면서 나는 성경을 적잖이 읽었고, 전국 각지의 유명한 목사님의 설교도 많이 들었다. 하지만 ‘성경의 저자가 하나님이 아니라 사람이다’라는 주장은 그래도 처음 듣는 말이었다. 목사가 설교할 때 언급한 말이 생각났다. “성경은 40여 명의 저자가 각각 다른 시기에 썼지만 그들이 쓴 내용에는 전혀 오차가 없습니다. 이 점으로 보면, 하나님은 성경의 진정한 저자이고, 성경은 모두 성령에게서 나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나는 망연해졌다. 도대체 진실은 무엇일까? 2017년 12월 8일 .. 들림 받아 공중에서 주님과 만나는 것은 하나님의 사역의 사실과 맞을까요 ‘공중에서 주를 영접하는 일’은 정말 이뤄질 수 있는가 또 바람 한 점 없는 무더운 오후입니다. 이정은 책상 앞에 앉아서 성경을 보다가 거기서 한 구절을 발견합니다. “보라 하나님의 장막이 사람들과 함께 있으매 하나님이 저희와 함께 거하시리니 저희는 하나님의 백성이 되고 하나님은 친히 저희와 함께 계셔서”(계시록 21:3) 그녀는 이 성경 구절을 뚫어지게 쳐다보면서 마음속으로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여기에서 ‘하나님의 장막이 사람들과 함께 있으매’, ‘하나님이 저희와 함께 계셔서’라고 말씀하셨는데, 하나님의 나라가 사람들 가운데 있다고 한다면 그럼 어떻게 들림 받지? 난 여러 해 주님을 믿으면서 주님이 오시면 우리가 들림 받아 공중에서 주님과 만날 거라고 생각해 왔는데, 성경에 분명히 그렇게 나와 있어... 주님을 믿으며 매일 죄를 짓고 산다면 훗날 천국에 갈 수 있을까요 죄의 속박에서 벗어나 천국으로 가는 길을 찾다 자정 즈음 하늘에 밝은 달이 떠있고 부드러운 달빛이 창문을 통과하여 해월의 침실을 비추었습니다. 해월은 침대에 누워 계속 이리저리 뒤척이며 아무리 잠을 청해 봐도 잠이 오지 않았습니다. 해월은 낮에 있었던 일이 생각나 기분이 울적했습니다. 시어머니가 땅을 팔아 그 돈을 작은 삼촌네에 더 많이 주었기 때문입니다. 해월은 지금까지 시어머니가 줄곧 작은 삼촌네 가족을 편애해온 것을 떠올렸습니다. 시어머니는 맛있는 것, 좋은 것들은 항상 작은 삼촌네에 주었고, 아이를 돌봐주거나 밭일을 도와주는 등 모든 면에서 다 그 집을 잘 챙겨주었습니다. 그런데 해월의 가족 일에 대해서는 전혀 신경 쓰지도 않고, 해월이 농사일로 바쁠 때 시어머니에게 잠시 아이를 맡기고 싶었지만 .. 진정으로 들림받는 것이란 도대체 무엇인가 알고 있습니까 진정으로 들림받는 것이란 도대체 무엇인가? 성경 참고: “밤중에 소리가 나되 보라 신랑이로다 맞으러 나오라 하매” (마 25:6) “볼찌어다 내가 문밖에 서서 두드리노니 누구든지 내 음성을 듣고 문을 열면 내가 그에게로 들어가 그로 더불어 먹고 그는 나로 더불어 먹으리라” (계 3:20) “기록하라 어린 양의 혼인 잔치에 청함을 입은 자들이 복이 있도다” (계 19:9) 관련된 하나님 말씀: 『‘들림받는다’는 것은 사람이 상상한 대로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옮긴다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크게 틀린 것이다. ‘들림받는다’는 것은 내가 예정한 후에 또 택하는 이 일을 가리켜 말한 것이고, 예정하고 또 택한 모든 사람을 겨냥해 말한 것이다…… 이 하나가 사람의 관념에 가장 부합되지 않는다. 무릇 나의 이후에.. 하나님은 자신의 계획대로 사역을 하시고 자신의 지혜로 사역을 하십니다 예수님께서 왜 안식일을 지키지 않으셨는지 알고 있나요 예전에 마태복음 12장 1~2절에 기록된 “그 때에 예수께서 안식일에 밀밭 사이로 가실쌔 제자들이 시장하여 이삭을 잘라 먹으니 바리새인들이 보고 예수께 고하되 보시오 당신의 제자들이 안식일에 하지 못할 일을 하나이다”라는 이 구절을 보고 저는 “예수님께서 분명히 바리새인들이 율법규칙을 철저하게 지키고 있는 것을 알고 계시는데 왜 여전히 안식일에 제자들을 데리고 외출을 하셨을까? 이러면 쉽게 바리새인에게 꼬투리 잡혀 그들이 일어나 예수님을 공격하고 논단하게 되는 것이 아닌가? 예수님은 왜 이렇게 하셨을까?”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이 문제가 도무지 풀리지 않았습니다. 어느날, 저는 하나님의 말씀을 보게 되었습니다. 『세상에 온 예수는 자신의 실제 행동으로.. 크리스천들을 3가지만 알고 기도하면 하나님께 응답받을 수 있다 3가지만 알고 기도하면 하나님께 응답받을 수 있다 크리스천이라면 기도는 매일 하고 계고 계시죠? 기도는 크리스천의 매일의 양식과도 같고 또 주님과 가까이 할 수 있는 가장 직접적인 통로이기도 합니다. 기도를 하게 되면 누구나 그렇듯 하나님께 바로 응답을 받고 싶어 하지만 아무런 답을 얻지 못하거나 하나님의 임재도 느낄 수 없을 때가 많죠. 그럴 때면 속으로 생각하죠. ‘왜 기도를 들어 주지 않으실까? 내 기도가 틀렸나? 어떻게 기도해야 하나님 뜻에 맞는 거지?’ 자, 그러면 오늘은 기도에 관한 3가지 원칙에 대해서 여러분과 함께 나눠 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하나님께 솔직히 털어놓는 마음의 소리인가 기도할 때 보면 기도를 얼마나 오래 했는지, 또 얼마나 멋지고 화려한 말이었는지, 이런 것들에 신경을 쓰는.. 하나님은 인류의 사악과 타락과 죄악은 절대 용납하지 핞는다 산상수훈 ― 예수의 비유 ― 계명 1.산상수훈 복에 대하여(마 5:3~12) 빛과 소금에 대하여(마 5:13~16) 율법에 대하여(마 5:17~20) 노에 대하여(마 5:21~26) 간음에 대하여(마 5:27~30) 이혼에 대하여(마 5:31~32) 맹세에 대하여(마 5:33~37) 보복에 대하여(마 5:38~42) 원수 사랑에 대하여(마 5:43~48) 구제에 대하여(마 6:1~4) 기도에 대하여(마 6:5~8) 2.예수의 비유 씨 뿌리는 비유(마 13:1~9) 가라지 비유(마 13:24~30) 겨자씨 비유(마 13:31~32) 누룩 비유(마 13:33) 가라지 비유를 설명(마 13:36~43) 보화를 감추는 비유(마 13:44) 진주를 찾는 비유(마 13:45~46) 그물을 치는 비유(마 13:47~.. 예수님이 속죄제인 어린양으로 비유된 것의 깊은 뜻을 알게되었다 예수님을 속죄 제물인 어린양으로 비유하는데, 어떤 뜻이 내포되어 있습니까 성경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었습니다. “율법이 육신으로 말미암아 연약하여 할 수 없는 그것을 하나님은 하시나니 곧 죄를 인하여 자기 아들을 죄 있는 육신의 모양으로 보내어…”(로마서 8:3) 이 성경 구절을 통해, 예수님은 인류의 죄를 구속하기 위해 십자가에 못 박히심으로 인류의 영원한 속죄 제물이 되었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마도 어떤 사람은 “예수님은 구속 사역을 하셨고 온 인류의 죄를 대속하신 어린양으로 비유되었는데, 여기에 어떤 뜻이 내포되어 있습니까?”라고 질문할 수도 있습니다. 이 문제를 이해하려면 우리는 먼저 속죄제가 무슨 뜻인지를 알아야 합니다. 레위기 4장 27절에서 31절에 이렇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만일 평.. 이전 1 ··· 27 28 29 30 31 32 33 ··· 43 다음